네트워크

쿠키는 브라우저 로컬에 key-value쌍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파일이다. 유효시간 내에서는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계속 유지된다. 세션은 브라우저가 종료되거나, 서버에서 해당 세션을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성이 좋다. 또한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서버 용량이 허용하는 한에서 제한 없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지만 서버의 부하가 커진다는 단점이 될 수 있다. connectionless, stateless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는 HTTP의 connectionless, stateless 특징 때문 클라이언트가 요청(request)를 했을 때, 그 요청에 맞는 응답(response)을 보낸 후 연결을 끊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알 수 없게 됨 쿠키 Co..
www.google.com 을 주소창에 쳤을 때 화면이 나오기까지의 과정 요약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URL입력 브라우저는 DNS를 통해 서버의 IP 주소를 찾음 client에서 HTTP request를 보냄 ⇒ TCP/IP 패킷 생성 ⇒ server로 전송 server에서 HTTP request에 대한 HTTP response 메세지 ⇒ TCP/IP 패킷 생성 ⇒ client 전송 도착한 HTTP response message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출력됨 동작 사용자가 URL을 입력한다. [Client] 입력된 URL을 Application Layer에 보낸다. [Client] Application Layer는 Domain의 서버 IP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DNS Server로 요청을 보낸다. [Clien..
HTTP Request Method Get: 리소스 조회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method URL 주소 끝에 key-value쌍으로 parameter를 포함하여 전송: Query String 캐시가 가능하다: 한번 서버에 Get요청을 한 적이 있다면 브라우저가 결과를 저장 → 이후 동일한 요청은 브라우저에 저장된 값으로 가져옴 POST: 요청 데이터 처리 클라이언트가 body를 통해 전달한 데이터를 서버가 처리하도록 요청하는 method 꼭 리소스를 등록하는 것만 아니라, 리소스마다 다양하게 처리 데이터 생성 혹은 변경, 특정 프로세스 처리 GET VS POST Get 메소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리소스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메소드이고, POST는 서버에게 데이터 처리를 요청..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웹 상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써 HTML과 같은 문서를 전송하는 것에 사용 서버에 연결 후 요청에 응답을 받으면 연결을 끊어버리는 Connectionless 특성 → 실제 동시 접속을 최소화하여 더 많은 유저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음 연결을 끊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태를 알 수 없음 ( Stateless 특성 ) 정보를 text형식으로 주고받기 때문에 중간에 인터셉트 할 경우 데이터 유출 발생 가능성 있음 → 이를 해결하고자 암호화를 추가한 프로토콜이 바로 HTTPS Request / Response Message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
점이
'네트워크'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