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면접

TCP/IP 전송계층 두 응용 계층 사이에서의 process-to-process 통신을 제공 응용계층으로부터 메세지를 받아 전송계층 패킷으로 캡슐화하여 전송 주 프로토콜: TCP, UDP TCP 연결형 ,신뢰성 전송 프로토콜 특징 전체 스트림을 순서에 맞고 오류 없이, 또한 부분적인 손실이나 중복 없이 전송하는 것을 보장 오류제어: 훼손된 segment의 감지 및 재전송, 손실된 segment의 재전송, 순서가 맞지 않게 도착한 segment를 정렬하고 중복 segment 감지 및 폐기 → TCP Header의 checksum, 확인응답, 타임-아웃 흐름제어: 데이터를 보내는 속도와 데이터를 받는 속도의 균형을 맞추는 것 혼잡제어 단계 Connection setup: 두 호스트의 전송 계층 사이에 논리적..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을 표준화한 모델로, 통신 시스템을 7단계에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하지만, OSI 모델이 실무적으로 이용하기에 복잡한 탓에 실제 인터넷에서는 이를 단순화한 TCP/IP 4계층이 사용되고 있다.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을 이용하고,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 일반적으로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은 소프트웨어로, 하위 계층의 프로토콜은 하드웨어로 구현 캡슐화 ( Encapsulation ) & 역캡슐화 ( Decapsulation ) 캡슐화 통신 프로토콜의 특성을 포함한 정보를 Header에 포함시켜 하위 계층에 전송하는 것 데이터는 각 프로토콜의 정보를 Header에 포함하여 하위 계층에 전달 → 최종적으로 물리 계층에서 binary데이터로 ..
Paging process가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을 일정한 page단위로 나누어, 물리 메모리에서 연속되지 않는 서로 다른 위치에 저장하는 메모리 관리 기법 물리적 메모리를 page와 같은 크기의 frame으로 미리 나누어 둠 주소 바인딩을 위해 모든 프로세스가 각각의 주소 변환을 위한 page table을 가짐 ❎ 메모리 단편화 문제 process의 논리적 주소 공간과 물리적 메모리가 같은 크기의 page단위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외부 단편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 process 주소 공간의 크기가 page 크기의 배수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프로세스 주소 공간 중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page에서는 내부 단편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Segmentation process가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을..
Multi process에서의 데이터 통신 원칙적으로 Process는 독립적인 주소 공간을 갖기 때문에, 다른 주소 공간을 참조할 수 없다. 하지만 데이터 주고받기 위해, 운영체제는 Process 간의 자원 접근을 위한 메커니즘인 프로세스간 통신(Inter Process Communication) 제공한다. IPC (Inter Process Communication) Process간의 통신을 도와주는 운영체제의 메커니즘 공유 메모리 (Shared Memory) Process들의 주소 공간의 일부를 공유 Process가 공유 메모리 할당을 Kernel에 요청 Kernel은 해당 process에 메모리 공간을 할당 이후, Kernel의 도움없이 Process들이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접근 ✅ 장점 커널의 관여..
점이
'기술면접' 태그의 글 목록 (2 Page)